본문 바로가기

자료구조6

[자료구조] 스택(Stack) 목차 스택(Stack)의 개념 스택은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 LIFO(Last In First Out), 즉 후입 선출 형식의 자료 구조이다. 따라서 스택에서는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택은 완전히 꽉 찼을 때 Overflow 상태라고 하며 완전히 비어 있으면 Underflow 상태라고 한다. 스택(Stack)의 연산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를 따른다. 즉, 가장 최근에 스택에 추가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제거된다.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항목을 제거한다. push(data): data 하나를 스택의 가장 윗부분에 추가한다. peek():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항목을 반환한다. isEmpty(): 스택.. 2022. 2. 28.
[자료구조] 그래프 (Graph) 목차 그래프란? 그래프는 정점과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임. → 트리는 그래프의 일종인데 다만 트리와는 달리 그래프는 정점마다 간선이 없을 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으며, 루트 노드, 부모와 자식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음. G = (V, E) V(G)는 그래프 G의 정점들의 집합을, E(G)는 그래프 G의 간선들의 집합을 의미함. 그래프에서 사용하는 용어 - 정점(vertice) : 노드(node)라고도 하며 정점에는 데이터가 저장됨 (0, 1, 2, 3) - 간선(edge): 노드 간의 관계를 나타냄 - 인접 정점(adjacent vertex) : 간선에 의해 연결된 정점 EX) 정점 0과 정점 1은 인접 정점) - 단순 경로(simple-path): 경로 중 반복되는 정점이 없는 것, 같은 간선을 .. 2022. 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