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1

[백준] 2581번 : 소수 – JAVA [자바] https://www.acmicpc.net/problem/2581 2581번: 소수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 단,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가 없을 경우는 첫째 줄에 -1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문제 풀이 백준 2581번 소수는 실버 5 난이도의 수학 문제이다. 이 문제에서는 입력으로 자연수 M과 N이 주어진다. 그리고 M이상 N이하인 소수들의 합과 소수의 최솟값을 출력하면 된다. 만약에 이 범위 안에 소수가 없을 때는 -1을 출력하면 된다. 이 문제는 소수 판별 알고리즘인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해서 풀 수 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이론을 공부하고 싶으면 밑에 있는 링크를 참고하면 되겠다.. 2022. 7. 16.
[백준] 2960번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JAVA [자바] https://www.acmicpc.net/problem/2960 2960번: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2, 4, 6, 8, 10, 3, 9, 5, 7 순서대로 지워진다. 7번째 지워진 수는 9이다. www.acmicpc.net 문제 문제 풀이 백준 2960번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실버 4 난이도의 수학, 구현 및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문제이다. 이 문제에서는 정수 N과 K가 주어진다. 2부터 N까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알고리즘을 적용시킨다고 할 때 K번째로 지우는 수를 출력하면 된다. 참고로 원래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알고리즘에서는 숫자의 배수만 지운다. 즉, 예를 들어서 2의 배수를 지울 때 2는 원래는 안 지우는데 이 문제에서는 2도 같이 지워야 한다. 만약에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 밑에 .. 2022. 7. 16.
[알고리즘] 버블 정렬 (Bubble Sort) 목차 버블 정렬이란? 버블 정렬이란 옆에 있는 값과 비교해서 더 작은 값을 반복적으로 앞으로 보내는 정렬 방법이다. 만약에 내림차순으로 정렬을 한다고 하면 옆에 있는 값과 비교해서 더 큰 값을 앞으로 보내면 된다. 우선 예시를 하나 살펴보겠다. 다음과 같은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고 가정하겠다. 우선 첫 번째와 두 번째 숫자, 즉 4와 2를 비교한다. 2가 4보다 더 작으니 더 작은 숫자인 2를 앞으로 보낸다. 그다음에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숫자, 즉 4와 1을 비교한다. 비교하고 더 작은 1을 앞으로 보낸다. 4와 5를 비교했을 때 4가 더 작으니 건너뛴다. 이 과정을 끝까지 반복하면 다음과 같다. 이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더 큰 숫자가 계속 뒤로 밀려나고 마지막에는 가장 큰 숫자가 맨 뒤로 밀려.. 2022. 7. 16.
[백준] 2775번 : 부녀회장이 될테야 – JAVA [자바] https://www.acmicpc.net/problem/2775 2775번: 부녀회장이 될테야 첫 번째 줄에 Test case의 수 T가 주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케이스마다 입력으로 첫 번째 줄에 정수 k, 두 번째 줄에 정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문제 풀이 백준 2775번 부녀회장이 될테야는 브론즈 1 난이도의 수학 및 구현 문제이다. 이 문제에서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지고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정수 k와 n도 같이 주어진다. 그리고 k층 n호에 몇 명이 사는지를 출력하면 되는 문제이다. 이 문제에서는 추가 조건도 있다. 바로 “a층의 b호에 살려면 자신의 아래(a-1)층의 1호부터 b호까지 사람들의 수의 합만큼 사람들을 데려와 살아야 한다”는 조건이다. 추가로 .. 2022. 7.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