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11 [백준] 10826번 : 피보나치 수 4 – JAVA [자바] https://www.acmicpc.net/problem/10826 10826번: 피보나치 수 4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www.acmicpc.net 문제 문제 풀이 백준 10826번 피보나치 수 4는 DP와 BigInteger를 이용해서 푸는 문제이다. DP나 BigInteger 이론을 공부하고 싶으면 밑에 있는 링크들을 참고하면 되겠다. https://propercoding.tistory.com/entry/알고리즘-다이나믹-프로그래밍-Dynamic-Programming [알고리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2022. 3. 27. [알고리즘] 큰 숫자 (정수) BigInteger 사용법 - JAVA [자바] 목차 BigInteger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가끔 알고리즘 문제들을 풀다 보면 큰 수를 처리해야 될 때가 있다. 여기서 큰 수란 int형의 범위를 넘어가고 심지어 long 형의 범위를 넘어갈 때이다. int형의 범위나 long형의 범위를 넘어서게 되면 모두 0으로 출력이 된다. 따라서 큰 수를 처리해야 할 때는 BigInteger를 사용해야 한다. BigInteger 사용법 BigInteger 선언 BigInteger number = new BigInteger("500000"); //선언할 때는 문자열 BigInteger를 선언할 때 보통 문자열을 인자 값으로 넘겨서 선언한다. BigInteger 계산 BigInteger number1 = new BigInteger("10000"); BigInteger.. 2022. 3. 27. [백준] 17626번 : Four Squares – JAVA [자바] https://www.acmicpc.net/problem/17626 17626번: Four Squares 라그랑주는 1770년에 모든 자연수는 넷 혹은 그 이하의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증명하였다. 어떤 자연수는 복수의 방법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26은 52과 12의 합이다; 또한 42 + 32 + 1 www.acmicpc.net 문제 문제 풀이 백준 17626번 Four Squares는 DP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해서 푸는 문제이다. DP 이론을 조금 더 공부하고 싶으면 밑에 있는 링크를 참고하면 되겠다. https://propercoding.tistory.com/entry/알고리즘-다이나믹-프로그래밍-Dynamic-Programming [알고리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Dyna.. 2022. 3. 27. [백준] 9625번 : BABBA – JAVA [자바] https://www.acmicpc.net/problem/9625 9625번: BABBA 상근이는 길을 걷다가 신기한 기계를 발견했다. 기계는 매우 매우 큰 화면과 버튼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기계를 발견했을 때, 화면에는 A만 표시되어져 있었다. 버튼을 누르니 글자가 B로 변했 www.acmicpc.net 문제 문제 풀이 백준 9625번 BABBA는 DP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해서 푸는 문제이다. DP 이론을 조금 더 공부하고 싶으면 밑에 있는 링크를 참고하면 되겠다. https://propercoding.tistory.com/entry/알고리즘-다이나믹-프로그래밍-Dynamic-Programming [알고리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Dynamic Programming) 목차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2022. 3. 27. 이전 1 ··· 93 94 95 96 97 98 99 ··· 103 다음 반응형